[유튜브] EP.1 1인 창업이란?
https://youtu.be/qXytCy9S43s?si=pmP0gqzOlKzdzBdx
안녕하세요 순코딩입니다.
오늘은 제가 생각하는 1인 창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인 창업에 대해 알아보기 전,
창업과 사업의 사전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창업의 사전적 정의는 ‘사업 따위를 처음으로 이루어 시작함’입니다.
사업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일을 일정한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지속적으로 경영함’입니다.
창업이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은 알겠으나 사업의 정의는 사전적 정의만으로는 감이 잘 오지 않네요
그래서 저는 저만의 기준을 통해 사업을 정의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사업이란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익을 발생시키는 소득활동입니다.
이 때 ‘시스템’이란 본인이 일하지 않는 시간에도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생산도구를 의미합니다.
4가지 예시를 통해 제가 생각하는 사업의 범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사례1.
A는 열심히 아르바이트를 하여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A는 사업가가 아닙니다.
사례2.
B는 카페를 개업하여 모든 운영 시간에 B가 직접 음료를 판매해 쉬익을 발생시킵니다.
B는 사업가가 아닙니다.
사례3.
C는 카페를 개업하여 직원을 고용하고 본인은 카페의 전반적인 운영관리만 수행하여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C는 사업가입니다.
사례4.
D는 웹사이트를 개발하여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D는 사업가입니다.
ABCD 네 명의 인물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영상을 잠시 멈추고 네 명의 인물의 차이점을 찾아주세요.
정답을 찾으셨나요?
네 명의 차이점은 수익 발생 시점에서의 노동 여부입니다.
A는 수익 발생 시점에 일을 하고 있고 일을 하지 않으면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B 또한 혼자 카페를 운영하기 때문에 수익 발생 시점에 직접 일을 하고 있고 일을 하지 않으면 카페 운영이 종료되어 매출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C와 D는 다릅니다.
C는 B와 같이 카페를 운영하지만 수익 발생 시점에서 본인의 노동이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즉, 직원이 일을 할 때에도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D는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나면 이후부터는 D가 일하고 있지 않는 시간에도 웹사이트에서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제가 생각하는 창업은 수익 발생 시점에서의 노동 여부와 관계가 깊습니다.
그렇다면 1인 창업은 무조건 좋고 무조건 해야할까요?
다음 영상에서는 제가 생각하는 1인 창업의 장단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으로 좋은 영상을 통해 많은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이상 순코딩이었습니다.
영상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