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팀피어 사이드프로젝트(쉐리어) 진행 중이다.
유저의 구독 상태에 따른 회원탈퇴 여부를 결정하는 로직을 개발 중이다.
유저의 구독 상태는 유저 정보에 담겨있다.
유저 정보는 유저 정보 요청 API를 통해 얻는다.
서비스(쉐리어)는 JWT 인증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유저 정보 요청 API 요청 시 헤더에 JWT 토큰을 담아 요청을 보내야한다.
필자는 해당 테스트를 위해 POSTMAN(이하 포스트맨)을 사용했으며 서비스에서의 HTTP 요청을 포스트맨에서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맨 사용 이유 : 서비스 UI 가 없어도 HTTP 요청을 마구마구 보낼 수 있어서 테스트에 용이함)
하지만 필자는 포스트맨에서 요청을 보낼 때 헤더에 토큰을 담아 보내는 방법을 몰랐다.
이 글에서는 포스트맨에서 요청을 보낼 때 헤더에 토큰을 담아 보내는 방법에 대해 스텝 바이 스텝으로 설명한다.
포스트맨에서 요청 헤더에 토큰 담는 방법
1. 서비스를 실행한 뒤 개발자도구 > 네트워크 탭을 실행한 상태에서 로그인을 진행한다.
2. 로그인 관련 http 요청을 확인한다.
(상단 필터링에서 Fetch/XHR 필터링을 통해 http 요청과 관련된 네트워크 통신을 확인할 수 있다.)
3. Headers 탭에서 요청 헤더와 응답 헤더를 확인한다.
4. 위 이미지와 같이 요청 헤더의 Authorization에 JWT 토큰이 담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Authorization 타입이 Bearer 라는 사실과 JWT 토큰의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 동일한 HTTP 요청을 포스트맨에서 구현해보자.
1. get-user API 요청을 생성한다.
2. Auth Type을 지정한다.( Authorization 타입이 Bearer 라는 사실을 확인했으므로 Bearer 선택)
3. Token 우측 입력폼에 토큰값을 복붙한다.
4. Send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URL로 HTTP 요청을 보낸다.
5. 하단 탭 Body에서 요청에 대한 응답값을 확인한다.
필자는 위 과정을 통해 get-user API 요청을 포스트맨에서 구현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문제 해결과정에 큰 도움을 주신 팀피어의 Frontend Developer 'Jobs'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팀피어 & 쉐리어 파이팅
이제 회원탈퇴 로직 개발하러 간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어 사용하기(WSL) (0) | 2024.11.02 |
---|---|
폰트 디자인 시스템 (0) | 2024.10.30 |
[npm] --legacy-peer-deps / --force 옵션 차이점 (0) | 2024.09.12 |
[VSC] VSCode 현재 포커싱된 곳에서 폴더/파일 생성 단축키 설정 (0) | 2024.08.14 |
소켓이란? (0) | 2024.06.17 |